
에너지환경신문 박은아 기자 | 친환경 대표선박인 LNG 운반선 세계 점유율 70%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22년 한 해 동안 전세계 발주량의 37%인 1,559만 CGT(453억불)를 수주하여, ’18년도(38%) 이후 최대 수주 점유율을 기록하였다고 전혔다.
’22년은 ’21년 대비 전세계 발주량이 22% 감소하였으나, 국내 조선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보다 4%p 높은 37%를 기록하였다.
이 점유율은 지난해 고부가ㆍ친환경 선박 분야의 발주가 많았고, 우리나라가 동 분야에서 높은 기술경쟁력을 가지고 약진한 결과로 평가된다.
’22년도 전세계 발주량은 4,204만 CGT로 코로나19로 지연된 수요가 폭증한 ’21년(5,362만CGT) 대비 22% 감소하였으나 우리나라는 ’22년 고부가가치ㆍ친환경 선박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다.
고부가가치 선박 전세계 발주량 2,079만 CGT(270척) 중 58%에 해당하는 1,198만 CGT(149척)를 우리나라가 수주하였다. 또한, IMO 환경규제 강화로 전세계 발주 비중이 급증(’21년 32 → ‘22년 62%)한 친환경 선박에서도 우리나라는 전세계 발주량 2,606만 CGT 중 50%인 1,312만 CGT를 수주하여 전세계 수주량 1위를 달성하였다.
먼저,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 현대미포, 현대삼호)은 239.9억불(197척)을 수주하여 목표(174.4억불) 대비 38%를 초과하는 실적을 거두었고, 삼성중공업은 94억불(49척)을 수주하여 목표(88억불) 대비 7%를, 대우조선해양은 104억불(46척)을 수주하여 목표(89억불) 대비 16%를 각각 초과 달성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각 사는 평균 3~4년치 일감을 확보하였고, 클락슨 세계 조선사 순위에서 상위(‘22.12월말 클락슨 기준)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선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금년 1,300억원을 조선 분야 핵심 기자재 기술개발과 인력양성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특히, 미래 선박시장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하여 암모니아 및 전기추진 선박의 추진 시스템 등에 관련 예산을 집중 투입하는 한편, LNG운반선의 기술격차 확대를 위하여 LNG 저장 시스템(화물창)의 상용화 및 극저온 펌프 등의 고도화를 위한 노력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