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환경신문 박은아 기자 | 산업부가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고 제고와 함께 향후 개설되는 재생 에너지 산업을 위한 태양광 설비 안정화 방안을 발표 한다고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장관 : 이창양)는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공기업‧공공기관, 민간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 제3차 회의를 1월 27일(금) 오전 10시에 개최했다고 전했다.
현재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직류 기반인 태양광 발전기를 교류 전력망에 연계시키는 인버터의 지속운전성능* 구비 없이는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이 어려워지고 있다.
전력설비의 고장에 따른 저전압 현상 등이 발생할 경우, 인근 지역 태양광 설비로 확산되어 계통 불안정성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어 선제적으로 전력계통 안정화에 관한 관리 및 대응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이에 정부는 전력수급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전력계통 신뢰도협의회(’22.12.22일), 전기위원회(’23.1.19일)를 거쳐 계통 안정화 방안을 아래와 같이 마련하였다.
육지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전북‧전남‧광주‧경남 일대)에 대해 저주파수와 함께 저전압 유지성능 구비를 위한 인버터 성능개선 추진, 태양광 인버터 특별대책반 중심으로 기관별 역할 정립‧이행, 신규 태양광 설비에 적용되던 지속운전성능 구비 의무를 기존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신뢰도 고시 연내 개정 추진 등의 대책을 마련 했다.
해당 발전 사업의 경우 발전사업자의 경우 태양광 인버터 지속운전성능 구비를 통해 경부하기의 발전설비 사전 출력차단 필요성이 완화되고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능력 제고와 함께 향후 개설되는 재생에너지 입찰 시장에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 추진 가능해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을 선제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전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전력시스템을 구축이 가능하다.
한편, 회의를 주재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계통에 대한 책임성 강화는 재생에너지 발전이 다른 발전원과 함께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기여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보급 확대를 위한 선결과제이며 정부는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